- 파이썬을 좀 더 파이썬 코드같이 작성하거나 내장 함수를 더 잘 쓰는 방법을 고민하기
- 다른 사람의 코드를 많이 읽어 보기
def solution(skill, skill_trees):
answer = 0
idx = []
for i in skill_trees:
for j in skill:
if i.find(j) > -1:
idx.append(i.find(j))
else:
idx.append(30)
if idx == sorted(idx):
answer += 1
idx = []
return answer
skill = "CBD"
skill_trees = ["BACDE", "CBADF", "AECB", "BDA"]
solution(skill, skill_trees)
코드 리뷰
line 3
idx를 for문 안의 첫 줄에 넣어주면 13번째 줄의 코드는 필요 없음
line 6
보통 파이썬에서 "j가 i에 포함됐는지 알고싶다"를 표현할 때에는 if j in i: 라고 표시
line 5, 6
통상 i, j, k는 인덱스 값을 저장합니다. 여기서 i는 인덱스가 아니라 리스트의 원소가 들어가니 다른 이름을 쓰는게 좋음.
line 10
가끔 코딩을 하다보면 이런 MAGIC NUMBER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MAGIC NUMBER는 상수 등으로 정의해놓는 편이 나중에 읽기가 좋다.
'OLD > Coding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차 정렬, DP] 코드 리뷰 (0) | 2020.03.16 |
---|---|
[3주차 탐색] 코드 리뷰 (0) | 2020.03.04 |
[2주차 해시, 스택] 코드 리뷰 (0) | 2020.02.28 |
[1주차 큐, 힙] 코드 리뷰 (0) | 2020.02.23 |